저탄고지(LCHF) 식단, 체중감량 효과와 건강 논란 속 팽팽한 의견 대립

0
2
a plate of steak, asparagus, tomatoes, and asparagus

최근 몇 년 사이 저탄고지(LCHF, Low Carbohydrate High Fat) 식단이 다이어트와 건강관리 방법으로 각광받으면서, 그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논란도 뜨겁다. LCHF 식단은 하루 전체 열량 중 탄수화물 섭취 비율을 줄이고, 지방과 단백질 섭취를 늘리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체중감량과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며, 셀럽들과 운동 마니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 저탄고지 식단이 단기간 내 체중감량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적지 않다. 한 국내 대학병원 영양사는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면 인슐린 분비가 감소해 체내 지방 저장이 억제되고, 체중감량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에게도 혈당 조절의 보조전략으로 일부 권장되기도 한다.

반면, 논란도 적지 않다. 국내외 의료계에서는 장기적으로 지방 섭취가 많아지면 심혈관질환,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동물성포화지방 위주의 식단은 콜레스테롤 증가로 이어져, 심장 건강에 좋지 않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대한영양사협회 관계자는 “LCHF 식단은 전문가의 지도 아래서 꾸준한 혈액검사 및 건강 상태 점검이 필요하며, 무분별한 식단 선정은 삼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최근 발표된 여러 후향적 연구들은 LCHF 식단을 장기적으로 유지한 집단에서 심혈관 질환이나 간 건강, 신장 질환 위험이 증가했다고 보고하고 있어, 무조건적인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개개인의 건강 상태와 병력에 맞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저탄고지 식단을 고민하고 있다면, 무작정 따라하기보다는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 본인의 건강상태에 적합한지 점검하고, 식단 구성에도 섬유질 및 다양한 영양소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단기간의 체중감량과 혈당 개선을 노리는 만큼, 장기적인 건강 유지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균형 잡힌 식습관 행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